• 2023. 5. 16.

    by. 초로로롱

    상근예비역이 뭔지 궁금하신 분들이 있을 겁니다. 20살 되고 병무청에서 신체검사를 받으라고 통지서가 날아옵니다. (신검)이라고도 합니다. 그럼 상근예비역 선발 조건, 복무기간, 월급, 장단점에 대해 자세히 알아봅시다.

    상근에비역이란?출퇴근하는 군인(선발 조건,복무기간,월급,장단점)

    상근예비역이 뭘까?

    상근예비역은 징집에 의하여 현역병으로 입영한 사람이 일정기간을 현역병으로 복무하고 예비역에 편입된 후 지역방위와 이와 관련된 업무를 지원하기 위하여 소집되어 복무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상근예비역은 대한민국의 병역제도로, 현역병과 같이 기초군사교육(육군은 5주, 해군은 6주, 해병대는 7주)을 마친 후 집에서 출퇴근하며 근무하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상근예비역 선발 조건

    상근예비역은 대한민국 병역법상 군대에 복무하지 않은 국민 중에서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사람들이 선발되어 군대에 입영하기 전에 미리 교육을 받는 제도입니다. 상근예비역 선발 조건은 수형자 또는 수감자 및 자녀가 있는 현역 대상자가 제1순위입니다. 그리고 신체검사(신검) 3급인 고졸보다 우선 선발 순위가 높습니다.

    상근예비역은 지방의 병무청 장이 거주지 별로 정해진 인원을 선발해 신체 등급과 학력, 연령등의 기준으로 우선 선발 순위로 선발합니다. 아래와 같이 선발 조건입니다.

    ■ 대학교 졸업(졸업 예정자 포함)한 사람

    ■ 박사학위 과정 입학이상의 학력자

    ■ 의.치의.한의.수의과 대학(원)을 졸업(졸업 예정자 포함)한 사람

    ■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병역의무자

     

    ▲수형자 또는 자녀가 있는 경우

    상근예비역 조건 중 선발 제1순위는 수형자 및 자녀가 있는 현역 징집 대상자입니다. 여기서 수형자는 죄인으로서 형벌을 받았거나 받고 있는 사람이며, 신검 3급인 고졸보다 우선 선발 순위가 높습니다. 기준은 징역 6개월 미만의 실형 또는 징역 1년 미만의 집행유예를 받은 상태여야 합니다.

     

    또한 현역병의 배우자가 아이를 1명이라도 낳으면 즉시 전역 후 상근으로 재소집시켜서 출퇴근하게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경우는 거주지 인근의 출퇴근 가능 부대로 전출되며, 관할 군부대가 현소속과 군종이 다르면 전군 조치도 합니다. 상근병 제도가 없는 공군병은 전환 희망 시 육군으로 전군 시켜 거주지 관할 부대로 전출시켜 줍니다. 자녀가 있는 사람들은 퇴근 후 육아에 시간을 써야 하므로 대대장 및 예비군 지휘관 재량으로 퇴근 후 점호에서 열외 되기도 합니다. 또한 육아시간을 하루에 2시간 일찍 퇴근시켜 4시에 퇴근하기도 합니다.

     

    ▲생계유지 곤란 병역감면 부양비 해당자

    생계유지곤란 병역감면은 집안사정이 좋지 못해서 군면제를 받을 수 있게 해주는 제도입니다. 만약 군면제 신청 후 조건에 맞지 않아서 부결이 되거나 회송처리 되면 상근예비역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또한 수형자, 자녀 양육과 동일하게 상근예비역 조건 중 선발 1순위입니다.

     

    생계유지 상근은 군 입대 전에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미 군 복무 중이라면 생계유지 상근 신청이 불가능하며, 생계유지 군면제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생계유지 상근예비역은 부양비, 재산, 수입액 3가지를 보지만 생계유지 군면제는 한 가지 조건을 더 봅니다. 바로 숙식 제공 능력이 없는 가족만 있는 사람의 여부입니다. 이는 병무청 홈페이지에 있는 생계유지 곤란 사유 병역감면원 자가진단 링크에서 자가진단을 받은 후 본인이 해당되는지 알아볼 수 있습니다.

     

    ▲ 학력

    상근예비역은 저학력을 우선순위로 봅니다. 예를 들어 신체검사 3급인 대학생과 신체검사 1급인 재수생 VS 고졸이 있는 경우 후자가 우선순위로 상근예비군으로 선발됩니다.

     

    ▲ 2023년도 부터 4급 사회복무요원(공익판정자)

    2023년도 부터 신체검사 4급 공익판정자도 본인이 지원하고 싶으면 현역인 상근예비역 선발대상자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다만 현역 전환 신청 후 상근 입대 희망 신청을 하는 거라 상근 선발에 떨어지면 현역으로 복무해야 한다고 합니다.

    상근예비역 복무기간

    현재 상근예비역 복무기간은 총 18개월입니다. 그리고 주말도 출근을 하지 않고 주 5일 출퇴근입니다. 또한  빨간 날과 같은 공휴일은 모두 쉽니다.

     

    대대상근과 동대상근

    ■ 대대상근 하는 일은 보통 초소 근무 및 무기손질 등등

    ■ 동대상근 하는 일은 예비군 자원관리 및 예비군 훈련에 대해 편성 및 홍보 등등

    ※ 동대상근 업무 관련 아래 링크 참고하면 도움이 많이 됨.

    상근예비역 월급

    상근예비역은 현역병사와 똑같이 군인 신분이기 때문에 동일한 계급이고, 현역병사와 같이 병장까지 진급이 됩니다. 또한 주말은 출근하지 않지만 상근예비역이란 이유로 급여가 달라지지 않으며, 현역과 같이 월급을 받습니다. 그리고 대대상근과 동대상근이 출퇴근하는 현역 군인이기 때문에 급식비, 교통비를 추가로 받습니다.

     

    ■ 2022,2023년 군인 월급 비교하기

    구분 이병  일병 상병 병장
    2022년 510,100원 552,100원 610,200원 676,100원
    2023년 600,000원 680,000원 800,000원 1,000,000원
    교통비 1일 기준 : 출근 1000원 퇴근 1000원
    급식비 1일 기준 : 7000원

     

    이번 2023년부터는 병장 월급이 100만원으로 인상됐습니다. 또한 자산 형성을 도와주는 내일준비점금의 정부 지원금이 월 최대 141,000원 ~ 300,000원으로 올랐기 때문에 사실상 병장 월급이 100만원 + 30만원 지원금 합하면 130만원이 월급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정부가 병장 월급 기준과 내일준비적금을 합한 금액을 2024년도에는 165만원, 2025년도는 205만원으로 점점 인상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상근예비역 장단점

    ■ 처음 훈련소(신병교육대대)로 입대하면 어차피 5주 뒤에 집에 갈 거 5주 동안 같은 생활관 동기들이랑 재밌게 전우애로 열심히 보내면 보람찰 거 같습니다.(사실은 그냥 캠프 간다는 느낌으로 생각하면 됨)

    ■ 상근예비역도 현역과 마찬가지로 진급평가를 봅니다. 동대상근은 필기시험+체력을 보기 때문에 조금 힘들 수 있습니다.

    ■ 대대상근과 동대상근은 특수한 경우 대대장 및 예비군 지휘관 허락하에 휴대폰을 쓸 수 있음.

    ■ 2025년도에 폐지된다는 이야기가 나오는데 2019년에 국무회의에서 논의했었던 내용이지 실제 폐지가 확정 된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